ㆍ北 GNI 南의 38분의 1
지난해 남북한 경제성장률이 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역전된 것으로 추정됐다. 남북간 경제력 차이도 좁혀져 북한의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남한의 38분의 1 수준, 1인당 국민소득은 18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이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200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에 비해 3.7% 증가했다. 지난해 남한의 GDP 증가율은 2.2%로 북한의 경제성장률이 남한을 앞지른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 남한의 성장률은 마이너스 6.9%, 북한은 마이너스 1.1%를 기록했다.
북한의 성장률은 99년(6.2%) 이후 줄곧 플러스를 기록하다 2006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한 뒤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북한의 기상여건이 좋아 곡물 생산이 늘었고, 6자회담 결과 중유 및 원자재 지원이 이뤄져 성장률이 높게 나왔다”고 말했다.
지난해 북한의 명목 GNI는 27조3472억원으로 집계됐다. 명목 GNI는 남한(1030조6363억원)이 북한보다 37.7배 많았으나 전년의 격차(39.3배)보다는 좁혀졌다. 북한의 1인당 GNI는 117만4000원으로 남한(2210만4000원)보다 18.1배 적었으나 전년(18.9배)보다는 격차가 다소 줄었다. 북한의 인구는 2329만8000명으로 남한(4860만7000명)이 2.1배 많았다.
<김다슬기자 amorfati@kyunghyang.com>